728x90

전체 글 416

[Stock] QQQ ETF 알아보기

나스닥 지수를 추종하는 QQQ ETF에 대해서 알아보자 - ChatGPT QQQ ETF는 PowerShares QQQ Trust, Series 1이라고도 알려진 ETF(Exchange-Traded Fund)입니다. 이 ETF는 나스닥 100 지수를 기초 지수로 사용하며, 주로 기술 기업 및 성장 주식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QQQ ETF에 대한 몇 가지 중요한 정보입니다: 나스닥 100 지수: QQQ ETF의 목표는 나스닥 100 지수의 성과를 복제하는 것입니다. 나스닥 100은 나스닥 거래소에서 상장된 100개의 대표적인 기술 기업으로 이루어진 지수입니다. 기술 중심: QQQ ETF는 기술 기업들이 주로 포함되어 있으며, Apple, Microsoft, Amazon, Facebook, Google..

경제/Stock 2023.11.07

[RN] React Native CLI vs Expo CLI

리엑트 네이티브 개발 시 Expo 사용하느냐 안하느냐 방식의 차이가 있다. 차이점을 알아보자 React Navie CLI 일반적인 React Native 개발 방식은 React Native를 사용하여 네이티브 모바일 앱을 개발하는 프로세스를 말한다. 환경 설정: Node.js 및 npm 또는 Yarn 설치: React Native 개발을 시작하려면 Node.js 및 관련 패키지 관리자 (npm 또는 Yarn)를 설치해야 한다. Android Studio 또는 Xcode 설치: Android 앱을 개발할 때는 Android Studio를, iOS 앱을 개발할 때는 Xcode를 설치해야 한다. React Native 프로젝트 생성: React Native CLI를 사용하여 새로운 프로젝트를 생성합니다. np..

[Economy] 경제용어 - 대체재, 더블딥, 디커플링

돈의속성 읽는 중 반성하며 공부시작 계속 공부해보자. 1. 대체재 대체재(代替財, 영어: substitute good)란, 경제학에서 어느 한 재화가 다른 재화와 비슷한 유용성을 가지고 있어 한 재화의 가격이 상승하면 다른 재화의 수요가 증가하는 경우 서로 대체관계에 있다고 말하며 이러한 대체관계에 있는 재화를 다른 재화의 대체재라고 한다. 이러한 대체의 개념은 상대적인 것으로, 예를 들어 승용차시장에서는 스포츠카의 대체재는 SUV가 되지만 이동수단의 개념에서 봤을때의 대체재는 전철,버스가 될 수도 있다. 대체재의 예는 콜라와 사이다, 밥과 라면, 커피와 홍차나 녹차, 쇠고기와 돼지고기이다. - ChatGPT 대체재(Alternative energy), 또는 대체 에너지는 기존의 화석 연료(석유, 석탄,..

경제/Economy 2023.11.03

[Economy] 경제용어 - 낙수효과, 단기금융시장, 대외의존도

돈의속성 읽는 중 반성하며 공부시작 계속 공부해보자. 1. 낙수효과 고소득층의 소득 증대가 소비 및 투자 확대로 이어져 궁극적으로 저소득층의 소득도 증가하게 되는 효과를 가리키는 말이다. 물방울이 아래로 떨어지거나 흘러내려 ‘적하효과(滴下效果)’라고도 한다. 농담에서 시작된 낙수 효과 낙수 효과라는 용어는 윌 로저스(Will Rogers)라는 유머작가가 미국 제31대 허버트 후버(Herbert Clark Hoover) 대통령의 대공황 극복을 위한 경제정책을 비꼬면서 세간에 처음 등장했다. 윌 로저스는 이렇게 말했다. “상류층 손에 넘어간 모든 돈이 부디 빈민들에게도 낙수되기(trickle down)를 고대한다.” 윌 로저스 그로부터 수십 년이 흐른 뒤, 윌 로저스가 풍자한 낙수 효과가 미국 경제정책의 신..

경제/Economy 2023.11.01

[Economy] 경제용어 - 기준금리, 기축통화, 기회비용

돈의속성 읽는 중 반성하며 공부시작 계속 공부해보자. 1. 기준금리 금리는 금융시장에 있어서 대차(貸借)되는 자금의 가격인데 대차의 당사자, 자금의 용도나 성질, 기간 등의 차이에 따라서 각각의 시장에서 여러 금리가 형성된다. 그 주된 것만도 중앙은행의 공정이율에서 상업은행의 예대금이자(預貸金利子), 콜 레이트 등 단기금융시장에서의 금리, 자본시장에 있어서의 각종 증권의 수익률 등을 들 수가 있다. 이러한 각종 금리 사이에는 상호간에 상당히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이 보통이며 상대적인 높이의 변동에 의해 상호간에 자금의 이동이 생겨 각 부분시장으로의 자금의 배분이 조정되게 되기 때문에(금리의 자금수급 조절기능) 각종 금리는 상호 유기적인 체계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성립되는 금리체계 중에서 중심..

경제/Economy 2023.10.29

[Economy] 경제용어 - 금본위제, 금산분리, 기업공개

돈의속성 읽는 중 반성하며 공부시작 계속 공부해보자. 1. 금본위제 화폐단위의 가치와 금의 일정량의 가치가 등가관계(等價關係)를 유지하는 본위제도이다. 역사적으로는 19세기에 영국을 중심으로 발전된 것이다. 금본위제는 화폐와 금의 결합 강도에 따라 금화본위제, 금지금본위제, 금환본위제로 대별된다. 금화본위제는 화폐와 금의 결합이 가장 강한 형태로 금의 자유주조 및 용해, 수출입의 자유가 인정되는 제도이다. 금지금본위제는 국내에서는 은행권이 화폐의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금은 대외결제수단으로 사용되는 제도이다. 금환본위제는 화폐와 금의 결합이 가장 약한 형태로 금과 교환이 가능한 다른 나라 화폐, 즉 금환을 대외준비자산으로 준비하게 된다. - ChatGPT "금본위제"는 한국의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에 ..

경제/Economy 2023.10.26

[Economy] 경제용어 - 공매도, 국가신용등급, 국채

돈의속성 읽는 중 반성하며 공부시작 1. 공매도 주식시장에서 공매도란 향후 주가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는 종목의 주식을 빌려서 매도(주식을 파는 것)한 뒤 실제로 주가가 하락하면 싼값에 되사들여(쇼트커버링) 빌린 주식을 갚음으로써 차익을 얻는 매매기법이다. 예를 들어 A종목 주가가 1만 원이고 주가하락이 예상되는 경우, 이때 A종목 주식을 갖고 있지 않더라도 일단 1만 원에 공매도 주문을 낸다. 그리고 실제 주가가 8,000원으로 하락했을 때 A종목을 다시 사서 2,000원의 시세차익을 챙기는 것이다. 이처럼 공매도는 하락장에서 수익을 내기 위한 투자기법이다. 공매도(출처: 게티이미지 코리아) 주식 공매도는 특정 주식의 가격이 단기적으로 과도하게 상승할 경우, 매도 주문을 증가시켜 주가를 정상 수준으로 ..

경제/Economy 2023.10.24

[Economy] 경제용어 - 골디락스경제, 공공재, 공급탄력성

돈의속성 읽는 중 반성하며 공부시작 1. 골디락스경제 영국 전래 동화 《골디락스와 곰 세 마리》를 통해 경제를 이야기해 보자. 어느 날 엄마 곰이 맛있는 수프를 끓였어요. 그러나 그 수프는 너무 뜨거워서 곰 가족은 수프가 식을 때까지 외출을 하기로 했답니다. 곰 가족들이 나간 사이, 골디락스는 우연히 곰의 오두막을 발견했어요. 골디락스는 세 개의 수프 그릇을 발견하고는 하나씩 차례로 맛보았어요. 하지만 아빠 곰의 수프는 너무 뜨거웠고, 엄마 곰의 수프는 너무 식어 있었지요. 아기 곰의 수프가 적당히 식어 있다는 것을 안 골디락스는 아기 곰의 수프를 몽땅 먹어 버렸어요. 수프를 맛있게 먹은 골디락스는 쉬고 싶어졌어요. 마침 의자도 세 개가 있었지요. 하지만 아빠 곰의 의자는 너무 크고 흔들리지 않아 불편했..

경제/Economy 2023.10.22

[Economy] 경제용어 - 고용률, 고정금리, 고통지수

돈의속성 읽는 중 반성하며 공부시작 1. 고용률 15세 이상 생산가능인구 중 취업자가 차지하는 비율로 실질적인 고용 창출 능력을 나타낸다. 취업인구 비율이라고도 불린다. 예를 들어, 고용률이 70%라고 하면 100명 중 70명이 취업자라는 것이다. 이러한 고용률은 실업률 통계에서 제외되는 비경제활동인구 수를 포함해 계산하므로 구직을 단념했거나 노동시장에 빈번히 들어오고 나가는 반복실업 등에 의한 과소 추정의 문제를 해결한다. 이와 대비되는 실업률은 ‘실업자 수/경제활동인구’로 정의되는데, 실업률은 통계 작성시 실망실업자와 같이 구직활동을 지속하다 취업될 가망성이 없다고 판단해서 스스로 취업을 포기한 사람을 경제활동인구에서 제외하므로 실제보다 실업률이 과소 추정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한계 때문에 O..

경제/Economy 2023.10.20

AWS ECS 와 EKS의 차이점 알아보기

AWS (Amazon Web Services)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중에서 ECS (Elastic Container Service)와 EKS (Elastic Kubernetes Service)는 둘 다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관련 서비스로, 컨테이너화된 응용 프로그램을 배포 및 관리하기 위한 도구이다. 그러나 두 서비스 간에는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있다. 관리 수준: ECS: ECS는 AWS에서 직접 관리되는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서비스로, AWS의 EC2 인스턴스 위에서 컨테이너를 실행한다. ECS 클러스터를 관리하고 EC2 인스턴스를 시작하고 중지하는 작업은 사용자에게 결정한다. EKS: EKS는 Kubernetes를 AWS에서 제공하는 관리형 서비스로 실행한다. Kubernetes 마스터 노드와..

개발/ETC 2023.10.18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