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개발/Java & Kotlin 146

[Spring] Spring에서 @Value 어노테이션 사용 시 주의할 점 정리

스프링에서 설정값 주입할 때 가장 직관적인 방법 중 하나가 @Value다. application.properties나 application.yml에 있는 값을 ${}로 꺼내서 바로 필드에 넣을 수 있어서 간단하고 편하기 때문. 근데 실무에서 무심코 쓰다가 에러를 겪거나, 나중에 유지보수하다가 “이게 왜 이렇게 되어 있지?” 싶을 때가 은근 많다. 그래서 이번엔 @Value 어노테이션 쓸 때 주의해야 할 점들만 쏙쏙 뽑아서 정리해봤다. ✅ 기본 사용법부터 간단히 보자@Value("${myapp.name}")private String appName; application.properties에 아래처럼 설정해두면,myapp.name=MySpringApp Spring이 자동으로 appName에 "MyS..

[JPA] Spring Data JPA에서 새로운 Entity인지 판단하는 방법 (2)

기존 포스팅이 있지만 한번 더 작성해보았다. [JPA] Spring Data JPA에서 새로운 Entity 판단하는 방법 [JPA] Spring Data JPA에서 새로운 Entity 판단하는 방법Spring Data JPA에서 새로운 Entity를 저장할 때 public interface SaveTest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 {} save @Transactional @Override public S save(S entity) { Assert.notNull(entity, "Entity must not be null."); if (entityInformation.isNew(edevhooney.tistory.com save()를 썼는데 insert가 안 돼요! upda..

[Spring] OSIV(Open Session In View) 옵션

✅ OSIV란?Open Session In View (OSIV)는 JPA에서 HTTP 요청이 끝날 때까지 영속성 컨텍스트(EntityManager)를 열어두는 전략이다. 이 설정이 true(기본값)면, Controller나 View(Rendering) 단계에서도 Lazy Loading이 가능하다. Spring Boot에서는 기본적으로 spring.jpa.open-in-view=true 로 켜져 있다. ✅ 왜 등장했을까?JPA는 기본적으로 지연 로딩(Lazy Loading)을 많이 쓴다. 예를 들어,@GetMapping("/users/{id}")public UserDto getUser(@PathVariable Long id) { User user = userRepository.findById(..

[Spring] Spring 프로젝트에서 레이어드 아키텍처 제대로 이해하기

레이어드 아키텍처(Layered Architecture)는 소프트웨어를 관심사에 따라 계층(Layer)으로 나누는 아키텍처 스타일이다. 각 계층은 특정한 역할을 맡고, 상위 계층은 하위 계층에만 의존한다. 이 방식은 유지보수성, 테스트 용이성, 재사용성을 높이는 데 목적이 있다. 🧱 대표적인 4계층 구조 1. Presentation Layer (프레젠테이션/뷰/웹 계층)-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계층 (웹 화면, API, 모바일 UI 등) - 요청을 받아 컨트롤러가 처리 -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고 결과를 표시 ✅ 예: Controller, HTML/Thymeleaf, REST API 2. Application Layer (애플리케이션/서비스 계층)- 비즈니스 로직을 조합하여..

[Gradle] Gradle을 알아보자!

1. Gradle이란? Gradle은 오픈소스 빌드 도구로,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Groovy 또는 Kotlin DSL을 사용해서 빌드 스크립트를 작성의존성 관리: 외부 라이브러리 쉽게 다운로드하고 관리빌드 캐시, 병렬 빌드 지원: 빠른 빌드 가능유연성: 사용자 정의 태스크 추가 가능다양한 언어 지원: Java, Kotlin, Scala, Android 등 2. Gradle 주요 개념 📦 프로젝트와 태스크(Task)Gradle은 기본적으로 프로젝트 단위로 구성됨각 프로젝트에는 여러 개의 태스크(task)가 있음예: 컴파일, 테스트, 패키징, 배포 등예시// build.gradle (Groovy DSL)task hello { doLast { println '..

[Spring] 트랜잭션 롤백하는 예외

예외 종류에 따라서 트랜잭션 롤백이 다르게 동작한다. Spring Framework 기준으로 트랜잭션이 롤백되는 예외는 다음과 같은 규칙을 따른다. ✅ 기본 롤백 규칙예외타입트랜잭션 롤백 여부RuntimeException (또는 그 하위 클래스)O (롤백됨)ErrorO (롤백됨)Checked ExceptionX (롤백 안 됨) ❗ 예시@Transactionalpublic void someMethod() throws IOException { // IOException은 Checked Exception이므로 기본적으로 롤백되지 않음 throw new IOException("checked exception");} 위의 경우 트랜잭션은 롤백되지 않는다. @Transactionalpublic..

[Java] Null Object Pattern 공부

1. 개념 널 오브젝트 패턴은 null을 반환하거나 사용하지 않고, 그 대신에 행동은 하지만 아무 효과가 없는 객체를 반환하거나 사용하는 방식이다. 이 객체는 실제 구현체와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구현하지만, 내부 로직은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 2. 구성요소 - 인터페이스 or 추상 클래스 > 공통된 메서드 정의 - 실제 구현 클래스(Real Object) > 기능을 실제로 수행 - 널 오브젝트 클래스(Null Object) > 아무것도 하지 않는 구현체 (혹은 디폴트 동작만 수행) 예제)public interface Log { void info(String message);}// 실제 로깅 구현public class ConsoleLog implements Log { publi..

[JPA] JPA에서 양방향 @OneToOne 관계와 Lazy Loading의 한계

JPA에서 @OneToOne 양방향 관계를 사용할 때, 연관 관계의 주인이 아닌 엔티티를 조회하는 경우 Lazy Loading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이유와 그 해결책에 대해 살펴보자.   1. Lazy Loading의 동작 원리 Lazy Loading은 엔티티를 실제로 사용할 때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연관된 데이터를 조회하는 전략이다. 이때 JPA는 연관된 엔티티가 실제로 필요할 때만 쿼리를 실행하여 데이터를 가져오는데, 이를 통해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다.@Entitypublic class User { @OneToOne(fetch = FetchType.LAZY) private Profile profile;}@Entitypublic class Profile { @OneToOne(mapp..

[Spring] 의존성 주입 간단히 알아보자

1. 개념A 객체가 어떤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B 객체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 두 객체 사이에 의존성이 존재한다고 표현한다. 이때, A 객체가 아닌 외부의 C 객체가 B를 생성한 뒤에 이를 전달해서 의존성을 해결하는 방법을 의존성 주입(Dependency Injection) 이라고 한다. 유연하고 재사용할 수 있는 설계를 만들기 위해서는 코드의 변경 없이 다양한 실행 구조를 만들 수 있어야 한다. 의존성 주입은 이를 돕는다. 예를 들어, A 객체 내부에서 B를 직접 생성하는 경우에는 B에 대한 결합도가 높아진다. 반면, B에 대한 생성 책임을 C에게 위임하고, C가 A에게 다시 전달해 주는 방식(의존성 주입)을 통해서 A는 B에 대한 결합도를 낮추고 유연한 설계를 만들 수 있다.       2. 의존성 주..

[Spring] 스프링 트랜잭션 전파 속성

1. 트랜잭션 전파란?스프링에서 트랜잭션 전파(Transaction Propagation) 는 트랜잭션의 경계에서 이미 진행 중인 트랜잭션이 있을 때 또는 없을 때 어떻게 동작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기능.@Transactional 어노테이션이 존재하는 메서드를 호출했을 때, 기존에 트랜잭션이 존재하면 재사용할지, 예외를 던질지 등 행동을 결정할 수 있다. 트랜잭션 전파 속성에는 REQUIRED, REQUIRED_NEW, MANDATORY, SUPPORTS, NOT_SUPPORTED, NESTED, NEVER가 존재하며,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의 propagation 속성에 값을 설정할 수 있다.   2. 설명REQUIRED: 트랜잭션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트랜잭션 사용하고, 트랜잭션이 없는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