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링 시큐리티를 공부하면서 필터, 인터셉터에 대해 더 자세한 공부를 하게 됐다. 클라이언트에서 요청이 있을 경우 Filter -> InterCeptor -> AOP -> InterCeptor -> FIlte이다. 1. 서버를 실행시켜 서블릿이 올라오는 동안 init() 실행, 그 후 doFilter() 실행 2. Controller에 들어가기 전 preHandler 실행 3. Controller에서 나와 postHandler, after Completion, doFilter 순으로 진행 4. 서블릿 종료 시 destory가 실행 Filter - 필터는 요청과 응답을 한번 필터링 해주는 역할 - 필터는 스프링 컨텍스트 외부에 존재 - 인코딩 변환처리, xss방어 들의 요청에 대한 처리로 사용된다. - 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