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의 첫번째 금리발표가 1월 29일에 있었다.
첫 번째 금리는 동결이었다.
발표일 | 실제 | 예측 | 이전 |
2025년 01월 30일 | 4.50% | 4.50% | 4.50% |
2024년 12월 19일 | 4.50% | 4.50% | 4.75% |
이전달은 4.75에서 4.5로 인하가 되었는데, 이번엔 동결이라니 아쉽다.
이로 인해 매크로에 어떤 영향이 있을까?
🔹 주식 시장
✅ 긍정적 영향 (특히 기술주, 성장주)
- 금리를 올리지 않으면 기업들의 자금 조달 비용이 증가하지 않으므로 주식 시장에는 우호적
- 특히 빅테크(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등)나 성장주는 금리가 오르면 밸류에이션이 낮아지기 때문에 동결은 호재로 작용
✅ 금리 인하 기대감이 커지면 추가 상승 가능
- 시장이 "다음엔 금리를 내릴 수도 있겠군"이라고 해석하면 주가가 오를 가능성이 커짐
- 반대로 "금리를 더 오래 유지하겠다"는 메시지가 나오면 기대감이 꺾여서 조정이 올 수도 있음
🔹 달러와 환율
✅ 달러 강세 or 약세 여부는 FOMC 코멘트에 따라 달라짐
- 만약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 있음"이라는 뉘앙스를 주면 → 달러 강세
- 만약 "연내 금리 인하 가능성 있음"이면 → 달러 약세
- 달러 약세가 되면 원화 등 신흥국 통화가 강세를 보이고 외국인 투자자금이 들어올 가능성이 있음
🔹 채권 시장
✅ 금리 인하 기대감이 생기면 국채 금리 하락
- 채권 가격과 금리는 반대로 움직이므로, 시장이 "이제 곧 금리 내릴지도?"라고 기대하면 국채 금리는 내려가고 채권 가격은 오름
-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가 내려가면 증시에 유리
✅ 금리 동결이 오래 지속될 거라면 장기물 금리는 유지
- 만약 연준이 "금리 유지 기간이 길어질 것"이라고 시사하면 장기 금리는 유지되거나 오를 수도 있음
🔹 금 가격 & 원자재 시장
✅ 금값 상승 가능성
- 금은 이자가 없어서 금리가 높을 때는 매력이 떨어지지만, 금리 동결 후 인하 기대감이 커지면 금값 상승 가능성
✅ 유가 영향은 복합적
- 금리가 유지되면서 경기 둔화 우려가 낮아지면 원유 수요 증가 기대감 → 유가 상승
- 하지만 달러 강세가 유지되면 유가는 약세일 수도 있음
📌 결론: FOMC의 향후 스탠스가 더 중요
- 단순한 금리 동결 자체보다는, 연준이 향후 금리 정책을 어떻게 가져갈지에 따라 시장이 반응
- 만약 연내 금리 인하 가능성을 열어둔다면 증시는 긍정적
- 반대로 매파적(긴축 유지) 발언이 나오면 주식시장에 부담
📊 현재 시장 분위기를 조금 더 체크해보면 더 정확한 흐름을 예측할 수 있을 듯! 🚀
- 참고
https://kr.investing.com/economic-calendar/interest-rate-decision-168
'경제 > Economy' 카테고리의 다른 글
[Economy] 미국 기준 금리 인하 발표(2) (108) | 2024.12.19 |
---|---|
[Economy] CPI 지수 발표 (6) (83) | 2024.12.12 |
[Economy] 환율 (68) | 2024.11.18 |
[Economy] CPI 지수 발표 (5) (47) | 2024.11.15 |
[Economy] 미국 기준 금리 인하 발표 (79) | 2024.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