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스프링에서 제공하는 어노테이션에 대해서 알아보자 !!!
1. 개념
@Component, @Service, @Controller, @Repository는 각각의 클래스를 특정 역할을 수행하는 Spring Bean으로 등록할 때 사용된다.
각 애너테이션은 클래스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명시적으로 나타내며, Spring의 @ComponentScan 기능을 통해 자동으로 Bean으로 등록된다.
@Service, @Controller, @Repository 어노테이션은 내부적으로 @Component 어노테이션을 사용하고 있다.
2. 광고
728x90
3. 종류
@Component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어노테이션으로, 특정 역할에 종속되지 않는 일반적인 Spring Bean을 나타낸다.
공통 기능을 제공하는 유틸리티 클래스나, 특정 계층에 속하지 않는 일반적인 컴포넌트를 정의할 때 사용된다.
@Service
비즈니스 로직을 수행하는 클래스에 사용되며 서비스 레이어의 Bean을 나타낸다.
@Controller
Spring MVC에서 웹 요청을 처리하는 컨트롤러 클래스에 사용되며 프레젠테이션 레이어의 Bean을 나타낸다.
@Repository
데이터베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수행하는 클래스에 사용되며. 데이터 액세스 레이어의 Bean을 나타낸다.
728x90
'개발 > Java & Kotlin' 카테고리의 다른 글
[Kotlin] 코틀린 + 스프링부트로 단숨에 완성하는 초강력 JWT 인증 시스템!💡 보안과 성능을 모두 잡아라!🔥 (54) | 2025.01.16 |
---|---|
[Spring] 동기, 비동기 차이 (70) | 2024.12.31 |
[Java] 동일성과 동등성 알아보기 (85) | 2024.12.22 |
[Java] equals와 hashCode 알아보기 (82) | 2024.12.19 |
[JPA] ID 생성 전략 알아보기 (131) | 2024.12.16 |